상식사랑

미국 물가 다시 급등? 뉴욕 웨이터도 억대 연봉 시대

화이트페블 2025. 2. 18. 19:58
반응형

최근 미국에서 물가가 다시 급등하면서 '슈퍼 인플레이션 시즌2'가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뉴욕에서는 웨이터 연봉이 억대를 넘길 정도로 인건비 상승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미국의 물가 상승이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그 원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뉴욕 맨해튼의 레스토랑에서는 기본 팁이 18~20%까지 올라갔다.

 

계란값이 소고기보다 비싸다?

지난 2월, 미국 뉴저지주의 한 슈퍼마켓을 찾은 소비자들은 계란 가격에 깜짝 놀랐습니다. 유기농 계란 12개 한 팩의 가격이 무려 9.39달러(약 12,400원)로 표시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5~6달러였던 것을 감안하면 60% 이상 오른 셈입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내 계란 평균 가격(4.82달러)이 쇠고기 1파운드(약 453g) 평균 가격(4.64달러)을 추월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미국에서 발생한 조류 독감으로 인해 4,300만 마리의 암탉이 폐사하면서 계란 공급이 줄어든 영향이 큽니다. 그러나 단순히 조류 독감 때문만이 아닙니다. 인건비, 운송비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면서 계란 가격이 크게 올랐고, 이는 빵, 과자 등 다양한 식품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다시 불붙은 인플레이션

지난해 12월까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미국 물가는 올해 들어 다시 상승하고 있습니다.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 모두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했죠. 특히 주거비 상승이 심각합니다. 미국 가계 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거비가 2년 전 대비 40% 가까이 올랐습니다. 집값뿐만 아니라 렌트비도 빠르게 상승하면서 서민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뉴욕 웨이터, 연봉 1억 시대

물가 상승은 외식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뉴욕 맨해튼의 레스토랑에서는 기본 팁이 18~20%까지 올라갔습니다. 과거 점심 식사 시 15% 정도 내던 팁이 이제는 저녁 식사 기준 20% 이상으로 올랐습니다. 이로 인해 뉴욕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레스토랑에서 일하는 웨이터들은 연봉이 10만 달러(약 1억 3,200만 원)를 훌쩍 넘기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팁이 높은 덕분입니다. 예를 들어, 저녁 식사에 와인을 포함하면 1인당 식사비가 150달러 정도 나옵니다. 4명이 식사하면 600달러가 되고, 여기에 20% 팁을 추가하면 120달러가 됩니다. 웨이터가 3~4개 테이블만 담당해도 하루 저녁 팁으로 360~480달러를 벌 수 있습니다. 한 달에 20일만 근무해도 7,200~9,600달러(약 950만~1,270만 원)를 팁으로 벌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자리도 여전히 일할 사람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공급망 문제와 인플레이션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단순한 수요 증가 때문만이 아닙니다. 팬데믹 이후 무너진 공급망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상품 가격뿐만 아니라 서비스업 물가도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올해 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에서도 이러한 흐름이 확인되었습니다. 12월에는 서비스업 생산자물가지수가 0.1% 상승하고, 상품 생산자물가지수가 -1.6% 하락하며 인플레이션이 다소 진정되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1월에는 서비스업 지수가 0.4%, 상품 지수가 1.2% 상승하며 다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올해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소비자들이 다시 지갑을 열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앞으로의 전망

최근 발표된 각종 물가 지표를 보면,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부 연준 관계자들은 3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를 0.5% 포인트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인플레이션이 단순히 금리 정책으로 해결될 수 없는 수준까지 왔다는 점입니다. 인건비 상승, 공급망 문제, 수요 증가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물가 상승이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처럼 불안한 경제 상황 속에서 소비자들은 더욱 신중하게 소비 계획을 세워야 할 시기가 되었습니다.

반응형